1. 전신 부작용
국소 도포된 스테로이드가 다시 전신에 흡수되는 과정을 전신재흡수라 한다. 좁은 영역에 소량 사용 시에는 전신재흡수와 관련된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나 높은 강도의 스테로이드나 밀폐요법 등은 전신재흡수를 증가시킨다. 이는 스테로이드의 전신부작용인 쿠싱증후군,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 억제, 골밀도 감소, 골괴사, 백내장, 녹내장, 고혈압, 소아의 성장억제를 유발할 수 있다.
성인 건선에서의 국소 스테로이드제 사용을 한 22개의 무작위 대조시험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 분석 연구에 따르면, 0~48% 환자에서 아침 혈중 코티솔 농도의 저하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6개월 이상의 장기연구에서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 억제는 발견되지 않아 성인에서 장기사용이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 억제를 유발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체중에 비해 높은 체표면적과 보다 얇은 진피층을 가진 소아의 특성을 고려할 때 소아 환자가 많은 아토피 피부염에서 국소 스테로이드제의 장기사용 시에는 부신 억제의 위험성을 여전히 고려해야 한다,
2. 안과적 부작용
눈 주위에 국소 스테로이드를 장기간 사용하면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하면 시력상실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는 약물의 전신재흡수에 의한 경우보다는 국소 약물 흡수에 의한 피부 외 전신부작용에 해당한다. 눈꺼풀은 약제의 투과율이 높고 특히 피부염이 발생한 경우 약제의 흡수가 더 증가되므로 약한 강도의 국소 스테로이드제인 경우에도 눈 주위 사용시 안과적 부작용의 발생을 확인해야 한다.

3. 뇌하수체-부신 축 억제 및 대사 부작용
아주 강한 역가의 스테로이드를 장기간에 걸쳐 많은 양을 바르게 되면 국소 스테로이드의 전신흡수에 의한 뇌하수체-부신 축 억제가 발생하여 성장지연과 의인성 쿠싱증후군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매우 드문 부작용이다. 스테로이드의 전신재흡수에 의한 효과로 혈중 당의 농도가 증가하여 의인성 당뇨가 발생하거나 골밀도 감소가 유발될 수 있다.
4. 스테로이드 거부감
1950년대 최초의 국소 스테로이드제가 도입된 당시에는 약제의 임상시험 및 약물역학등 약물 안전에 대한 연구가 일반적이지 않아 새로운 약제의 과다사용과 오용이 흔하였고, 이로 인하여 약 10년후 피부관련 부작용들이 보고되었다. 국소 스테로이드제에 대한 거부감은 이러한 약제의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한 기대하지 못했던 약물이상반응에 대한 극단적인 반작용이었다. 국내에서도 국소 스테로이드제가 처음 도입된 시기에 강도 등에 근거한 처방 기준이 모호하였고, 이러한 상황에서 국소 스테로이드제 남용으로 인한 약물 이상반응으로 인한 부작용이 알려지면서 스테로이드 거부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스테로이드 거부감은 적절한 약물의 사용을 저하시키고 환자 순응도를 감소시키는 주요요인이 되고 있다. 이토피피부염 환자에서 국소 스테로이드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갖는데 대중매체의 역할과 의사-환자간 소통의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어서, 진료 시 환자에게 국소 스테로이드제에 대한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토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아토피피부염 전신 스테로이드제의 부작용 (0) | 2025.10.31 |
|---|---|
| 전신 스테로이드제의 아토피피부염에서의 적응증 및 효과 (0) | 2025.10.30 |
| 아토피피부염 국소 스테로이드제 사용의 부작용 (0) | 2025.10.27 |
| 아토피피부염의 국소 스테로이드제 사용 (1) | 2025.10.26 |
| 아토피피부염에서의 국소 스테로이드제의 효능 및 사용법 (0) | 2025.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