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토피피부염의 병인은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유전적 요인, 피부장벽기능, 면역체계의 이상, 환경요인 든의 복잡한 상호 작용의 결과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아토피피부염의 유병률에 대한 역학조사에서 과거에 비해 산업화, 서구화가 진행되면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결과는 서구화된 여러 나라의 자료에서도 일관성 있게 관찰되고 있다. 현재까지 아토피피부염의 발생 기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지는 않았다.
2. 아토피피부염 병인의 특징
아토피피부염은 유전적 소인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서 여러 가지 환경요인에 노출되면서 발생하며, 특히 Th2 림프구에 의한 면역반응이 유도됨으로써 알레르겐에 대한 특이 IgE가 만들어지고 이를 통해 과민반응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아토피피부염의 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한 것은 급격한 유전자 변화가 발생했을 가능성 보다는 아마도 환경적 변화가 아토피피부염의 발생 증가에 주로 기여했으리라 추정된다. 아토피피부염은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에 비해 사회가 선진화하고 경제 수준이 높은 서구화된 생활양식을 가진 선진국에서의 아토피피부염 유병률이 높다는 점에 근거하여 소위 '위생 가설'이 제시되었다. 감염성 질환의 발생률과 아토피질환의 유병률 간의 역비례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바이러스 및 세균에 대한 노출이 적을수록 아토피피부염 및 천식같은 알레르기 질환의 증가를 설명 하고 있다. 그 기전으로 역설적인 Th2 세포 면역 반응을 제시하고 있다.
3. 위생 가설에 따르면 신생아시기는 면역체계가 완벽하게 완성되지 않는 시기로 면역반응이 Th2 반응 쪽으로 치우쳐 있다가 점차 성장하면서 미생물에 의한 적절한 자극을 통해서 점차 Th1반응이 유도되어 균형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너무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하면 미생물 감염의 노출 기회가 감소하면서 Th2반응이 우세한 면역체계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천식 및 아토피피부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이 발생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출생 전후의 위생조건이 어떤 물질에 대한 면역 반응 결정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는 가능성을 설명하는 데 적절하고 또 출생 후의 면역 반응을 이해하는 데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할 수 있다.
4. 현재까지의 많은 역학적 연구는 위생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집안에 형제 수가 많을수록, 아이들이 많은 유아원에 어린 나이부터 다닐수록, 농장에 사는 경우 등 감염에 대한 위험성이 높을수록 천식 혹은 아토피피부염같은 알레르기 질환의 발생이 적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후진국에서 오히려 아토피피부염의 유병률이 높은 경우도 있고, 선진국의 사회 경제적 상태가 좋지 않은 인구집단에서 아토피피부염이 많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어 위생가설 만으로 아토피피부염의 발생을 설명할 수는 없다.
'아토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토피피부염 음식물 알레르기 검사 (0) | 2025.09.28 |
---|---|
아토피피부염에 대한 검사 (0) | 2025.09.27 |
성인 아토피피부염의 임상증상 및 특징 (0) | 2025.09.26 |
서구화된 식습관과 아토피 피부염 (0) | 2025.09.25 |
아토피피부염의 증가 원인 (0) | 2025.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