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토피피부염 환자들의 눈 주변 병변의 악화가 공기중 꽃가루가 많이 날리는 계절에 더 자주 관찰되며, 흡입항원의 흡입 시 감작된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피부병변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가 유도된다는 연구를 포함한 여러 임상 및 실험 연구를 통해 흡입항원은 직접접촉 또는 흡입을 통해 아토피피부염을 악화시키는 중요한 인자임이 밝혀져 있다. 집먼지 진드기 이외에도 실내에는 다양한 흡입항원이 존재한다. 일반적인 흡입항원은 꽃가루, 동물의 비듬, 곰팡이 등이며, 중등도 및 중증의 아토피피부염 환자에서 이러한 흡입항원에의 감작률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한 연구에서는 유아기에 높은 농도의 실내 항원에 노출될 경우 3세 이전에 아토피피부염이 발생할 확률이 증가하며, 실내 항원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아토피피부염의 증상이 심해지므로 이를 피할 것을 주장하였다.
2. 아토피피부염 환자에서 흡입항원에 대한 회피 조치가 일관되게 도움이 되지는 못하며, 흡입항원의 피부접촉이 항원에 따라 5~45% 양성률로 일부의 환자에서는 습진병변을 유발하지만 일부의 환자들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흡입항원의 아토피피부염 병인에서의 정확한 역할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잇지만, 첩포시험에 의해 알레르기 접촉 항원으로 진단된 경우 회피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내 흡입항원 농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거주지에 적절한 환기가 잘 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천으로 된 커튼이나 카펫, 담요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일주일에 한 번 적절한 필터가 장착된 진공청소기로 바닥 및 실내 장힉품 등을 청소하며, 젖은 스폰지로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3. 최근에는 아토피피부염의 발생률 증가와 관련하여 건물의 기밀화와 단열화를 위해 사용하는 내장재와 방음재, 카펫과 가구류 및 전기, 전자제품 등의 생활용품, 목재 보존제와 왁스를 비롯한 서구화된 실내 생활호나경도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즉 실내 공기 중에 흡입 항원 뿐 아니라, 다양한 실내 공기 질의 오염이 아토피피부염의 악화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아토피피부염을 포함한 알레르기질환의 예방을 위해 습도조절과 환기, 환경친화성 자재의 사용, 저알레르기 항원 주택의 건축 등 실내 환경 변화가 필요함을 제안한 연구자도 있다. 실내 공기 질 오염은 먼지, 담뱃재, 각종 불완전연소 물질 및 집먼지진드기 항원 등의 입자상 오염 물질, 휘발성 유기 화합물, 포름알데히드, 이산화질소 등의 가스상 오염물질, 그리고 각종 세균이나 진균등의 미생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스상 오염 물질 중 벤젠, 디클로로벤젠, 펜타클로로벤젠, 부틸아세테이트, 톨루엔 및 자일렌, 스틸렌 등이 포함되며, 이는 주로 페인트, 목재 보존제, 단열제 등에 의해서 발생하며 호흡기나 피부로 흡수되어 아토피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기청정기 사용으로 실내 공기 오염을 줄이는 것이 아토피피부염의 증상완화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대규모 연구는 아직 없지만 몇몇 보고에서 그 연관성을 제시하고 있다.
4. 헤파 필터가 장착된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실내 환경 조절 후에 집먼지 진드기 항원과 바퀴벌레 항원 등 실내 항원이 감소하였다는 보고가 있고 이는 알레르기 천식의 중증도와 합병증의 감소와 유의한 관련을 보였다고 하였다. 또한 중등도에서 중증의 소아 아토피피부염 환자 51명 및 그 가정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이 환아들을 먼지, 집먼지 진드기, 미생물 및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 실내 휘발성 유기 물질이 낮게 유지되는 입원실에서 3~4일 동안 입원 치료한 결과 아토피피부염의 중증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환자의 집에서는 미립자 물질, 포름알데히드, 이산화탄소, 세균 현탁액 및 실내 곰팡이가 입원실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입원 시 호전되었던 환아도 퇴원하여 집으로 돌아가면 다시 악화되는 소견을 보엿따고 보고하였다. 진공청소기나 집먼지 진드기 방지용 매트리스커버 등과 함께 공기청정기가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실내 환경 개선을 통한 증상 조절 및 유지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 제안 한 연구도 있다.
'아토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토피피부염의 적정 온도 및 습도, 개인 위생용품 (1) | 2025.10.19 |
---|---|
아토피피부염 환자를 위한 접촉 알레르기 등의 환경 관리 (0) | 2025.10.19 |
아토피피부염의 환경관리 (0) | 2025.10.17 |
아토피피부염과 삶의 질 (0) | 2025.10.16 |
아토피피부염의 스트레스조절을 위한 이완요법 (0) | 2025.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