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피

아토피피부염의 증가 원인

bebe3820 2025. 9. 24. 15:40

아토피피부염의 증가 원인

 

1. 위생가설

위생가설이란 산업화된 사회에서 가족구성원의 감소, 주거환경 및 개인 위생의 개선으로 유아기에 바이러스 및 세균의 감염 혹은 내독소에의 노출 기회가 중어 Th1 면역반응이 성숙하지 못하고 Th2 면역계가 우세하게 작용하는 아토피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설은 유아기의 외부 요건이 향후 면역반응의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였고, 출생 후 면역반응을 이해하는 새로운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저개발국을 비롯하여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지 못한 인구집단에서 아토피 질환이 빈번히 발생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위생가설 만으로 아토피 질환의 증가를 설명하기는 어렵다. 또한, 위생가설은 천식, 알레르기비염에서 좀 더 강한 연관성을 보이는 반면, 아토피피부염에서는 상대적으로 설득력이 적다는 분석도 있다.

 

2. 실내대기오염

실내대기오염 역시 아토피피부염 증가의 원인으로 생각된다.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공기 오염물질의 노출 등 많은 환경적 요인이 아토피피부염의 악화에 관여할 뿐 아니라, 아토피피부염 발생의 위험성 역시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보고에 따르면, 생후 12개월 이전에 집안을 리모델링 하거나 새 가구를 구입한 경우 아토피피부염의 위험도가 높았으며, 출산전후의 담배연기에의 노출 역시 아토피피부염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환경오염

산업화에 따른 환경오염물질의 증가가 아토피피부염 증가의 직접적인 요인이라는 가설이 여러 연구에서 제기된 바 있다. 도로변에 가까이 살수록 아토피피부염의 위험성이 증가하였을 뿐 아니라, 자동차 유해가스인 이산화질소 및 일산화탄소의 농도와 아토피피부염의 발생 사이에 연관성이 밝혀지기도 하였다. 휘발성 유기화합물로 아토피피부염의 발달과 악화에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최근에는 봄철의 미세먼지와 아토피피부염의 관련성이 증명되기도 하였다.

 

4. 기후

기후 역시 아토피피부염의 발달과 긴밀한 연관이 있다. 위도가 높을수록, 연평균 온도가 낮을수록 아토피피부염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낮은 온도과 낮은 습도는 아토피피부염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높은 습도와 적절한 자외선의 노출이 아토피피부염의 발생을 줄일 수 있음이 증명되기도 하였다.